본문 바로가기

세상사는 이야기

멜라민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자!!!

Melamine[1]
IUPAC name 1,3,5-Triazine-2,4,6-triamine
Other names 2,4,6-Triamino-s-triazine
Cyanurotriamide
Cyanurotriamine
Cyanuramide
Identifiers
CAS number [108-78-1]
PubChem 7955
SMILES
Properties
Molecular formula C3H6N6
Molar mass 126.12 g/mol
Appearance White solid
Density 1574 kg/m3
Melting point

350 °C, 623 K, 662 °F

Boiling point

Sublimes

Solubility in water 3.1 g/l (20 °C)
Except where noted otherwise, data are given for
materials in their
standard state
(at 25 °C, 100 kPa)

Infobox references

라마인(melamine, 흔히 말하는 멜라민.)은 유기염기(염기성 유기 화합물)의 하나이며 분자식C3H6N6, IUPAC 이름은 1,3,5-트라이아진-2,4,6-트라이아민(1,3,5-triazine-2,4,6-triamine)이다. 일반적인 상온의 에는 약간(1리터에 약 3g) 녹지만, 수온이 높을수록 비교적 잘 녹는다. 약 350°C 이상의 열에 파괴되면서 융해가 일어난다.

멜라마인은 시안아미드(cyanamide)의 3중화합체(trimer)이다. 시안아미드처럼 질량의 66%가 질소이며, 레진의 성분으로서 소화기에 쓰이는데 그 이유는 연소가 되면 질소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시안아미드의 2중화합체(dimer)인 2사이안2아미드(dicyandiamide, 또는 cyanoguanidine)도 역시 소화기 분말의 성분이다.

멜라마인은 포유 동물살충제시로마진(cyromazine)를 섭취했을 때 체내에서 생성된다(metabolite).[1] 식물 또한 시로마진을 멜라마인으로 전환한다고 보고되었다.[2][3]

독성

에 대한 치사량 LD50은 >3000 mg/kg이다. 많은 양을 섭취하면 여러 종류의 동물에서 요로결석방광결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을 오래 섭취할 경우 신장 결함이 일어나 사망에 이르게 된다. 멜라민을 장기간 다량 섭취할 경우 요로결석과 급성신부전 등 주로 방광 및 신장에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적은 양의 멜라민은 매일 섭취해도 인체에 해롭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일반적으로 독성물질에 대한 상대평가는 반수치사량(Lethal Dose 50)으로 설명되는데 멜라민의 경우 실험쥐에 대한 반수치사량은 3,161 mg/kg으로 알려졌다. 이는 1 mg/kg의 니코틴보다 약 3,000 정도 약하지만 10,000 mg/kg의 에탄올(술)보다 약 3배 정도 독성이 강하다고 독성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화학물질에 있어서 치사량이 2000 mg/kg 이상이면 독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일반적으로 비발암물질에 대해서는 허용일일섭취량을 설정하는데 멜라민에 대한 허용일일섭취량이 미국 FDA에 의해 제시되었다. 허용일일섭취량은 평생 동안 매일 섭취하여 어떠한 부작용이 없는 섭취량을 말하며 대부분 동물을 이용하여 무유해작용량(NOAER,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으로 산출된다.

멜라민 섭취에 의해 주요 부작용은 방광결석 및 신장결석으로 요약된다. 동물을 이용한 신장결석을 유발하지 않는 무유해작용량은 63 mg/kg/day이다. 동물에서 얻은 무유해작용량은 사람에게 적용할 때는 보다 안전을 기하기 위해 독성정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1,000 배 정도 낮추어 허용일일용량이 설정된다.

동물 사료와 음식물에 악용

2006년 중국에서는 단백질의 함량을 속여서, 미국으로 수출할 가축 사료의 성분인 밀가루의 양을 과장하여 부풀리는 데 이용하였다. 그 결과로 이 사료를 먹은 가축은 신장 이상으로 사망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2007년에는 이 사료를 전국적으로 회수하는 조치가 이루어졌다.

또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물질을 첨가하여 불법적으로 생산된 유제품 내의 함량을 숨기기 위해 중국우유와 이유식 생산업자들은 분유에 멜라민을 첨가하였다. 이 방법으로 질소의 함량을 보통의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는 수치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Kjeldahl 방법에 의한 질소 성분 함량 분석법은 식품 분석 분야에서 단백질의 함량 확인을 위한 아주 간단한 방법이나 구체적이지는 않다. 멜라민의 신장에 유해 작용은 2008년 9월 중국에서 신장결석에 의한 4명의 유아 사망과 약 53000명의 소아 환자를 발생시켰다. 이밖에도 멜라민은 유제품과 일상의 우유, 제과류 등에서도 발견되었다.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