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도덕과 내용교수법(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의 의미


 도덕과 내용 교수법이란 ‘도덕 교과 내용 지식과 그 내용과 관련된 효과적인 교수법이 결합된 지식 체계’를 의미합니다. 도덕 교사의 전문성은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과 그 내용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기술을 갖추었는가 하는데서 발휘됩니다. “도덕교사와 도덕학자”의 자격은 바로 이 내용 교수법에서 차별화되는 것입니다. 즉 도덕학자는 도덕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은 깊지만, 그 내용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기술을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비해 도덕 교사는 가르칠 교과 내용 뿐 아니라 그 내용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기술도 갖출 필요가 있습니다. 도덕 교사에게는 도덕학의 지식 뿐 아니라 교수법까지 갖출 것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내용 교수법이란 용어는 슐만(Shulmam, 1986)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로서, 교사는 가르칠 교과 내용 지식뿐 아니라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내용 교수법은 교사들 각자가 오랜 교직 생활 동안 교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터득하는 현장 기반 노하우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교사 교육에서 필요불가결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도덕과 내용 교수법 자료 개발의 방향


 도덕과 내용 교수법 자료는 초․중등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나 주제를 중심으로 개발합니다. 또한 동일 주제의 수업이라도 교사들마다 가르치는 방식과 노하우가 다를 수 있으므로, 동일 주제에 대한 교사들의 PCK 사례들을 제시하여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005학년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센터 주관으로 실시된 설문 조사에 의하면, 교사와 학생들이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도덕과 내용 지식이 통일 관련 교육, 전통 도덕․윤리, 동․서양 윤리 사상, 가치관 및 기본 인성 관련교육, 실천 의지 함양 교육, 진로․진학․직업 관련 교육, 자아 정체성 형성 교육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중에서 2005년도에 통일 교육과 가치관 및 윤리 의식 함양 관련 PCK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동서양 윤리 사상 PCK 자료가 개발되었습니다. 2005년도의 PCK 자료가 효과적인 교수법의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면, 2006년의 동서양의 윤리 사상 PCK 자료는 교사와 학생들이 개념 이해에 많은 어려움을 갖기 때문에 내용 지식의 이해 중심으로 개발하였습니다.


3. 도덕과 내용 교수법 자료의 구성 체계


 도덕과 내용 교수법 자료의 내용 구성은 다음 9가지 항목을 기본틀로 하고, 내용 지식의 특성과 수업 상황에 따라, 이들 항목 중에서 핵심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몇 가지 항목, 예를 들어 수업 목표, 내용 지식,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 지식, 효과적인 교수법 항목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내용

1. 수업 목표

해당 개념에 대하여 학생들이 학습하기를 바라는 것

2. 학습 이유

학생들이 해당 개념을 배워야 하는 이유

3. 내용 지식

학생들을 지도할 때, 교사가 해당 개념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하는 교과 지식

4. 지도상의 유의점

해당 개념을 가르칠 때의 어려움, 한계점, 유의사항

5. 학생 지식

교사가 해당 개념을 가르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오개념, 선개념에 대한 교사 지식

6. 상황 요인

교사가 해당 개념을 가르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

7. 효과적인 교수법

해당 개념을 가르칠 때 효과적인 교사 활동 절차 및 교수법

8. 활용 이유

이 절차를 활용하는 이유

9. 평가 방법

해당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혼동이나 이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


4. 도덕과 내용 교수법 자료의 개발 절차


주제 1: 학생들이 학습하기 어려워하고 교사가 지도하기 힘든 내용(개념, 원리, 기능)은 무엇인가?

주제 2: 이러한 내용(개념, 원리, 기능)을 주어진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1 단계

 도덕 교과 내용 및 도덕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PCK 주제 선정(교사, 학생 의견 수렴)

2 단계

 PCK 주제 관련 학생들의 지식, 선개념/오개념, 요구 등을 파악

3 단계

 수업구조/상황과 연계하여 핵심 개념, 원리, 기능지도교수법(PCK) 발굴, 개발

4 단계

 실제 수업에서의 실험 적용 및 효과 검토

5 단계

 PCK 수정․ 보완 및 새로운 PCK 아이디어 개발




5. 도덕과 내용 교수법 자료의 개발 절차의 적용


 위 절차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적용하여 작성한다.


 1단계는 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주제를 선정한다.

   가. 통일 관련 교육

   나. 전통 도덕․윤리 교육

   다. 가치관 및 기본 인성 관련 교육

   라. 도덕적 실천 의지 함양 교육

   마. 진로․진학․직업 관련 교육

   바. 자아 정체성 형성 교육


 2단계에서는 위의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음과 같은 관찰 항목을 참고하여 지도안을 작성한다.

   가. 이해: 가르친다는 것은 교육의 목적, 교과 구조, 학문 안팎의 아이디어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나. 변형: 이해된 아이디어들이 가르쳐지려면 어떤 방식으로든 변형되어야 한다. 변형은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조합하고 순서를 짓는 것이다.

        -주어진 교재 자료 준비

        -유추와 비교의 형태로 아이디어 제시하기

        - 가르치는 방법과 모형들 중에서 교수적인 선택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조정하기

        -교실 내의 특정 학생들에게 알맞게 맞추어주기

   다. 교수: 교수 행위의 다양성은 다음을 포함한다.

        -관리(management)

        -제시(presentations)

        -상호작용(interaction)

        -집단 학습(group work)

        -훈육(discipline)

        -유머(humor)

        -질문하기(questioning)

        -탐구와 발견 교수(discovery and inquiry instruction)

        
출처: http://www.classroom.re.kr/view.jsp?mcode=121115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연구방법  (0) 2009.11.29
행동주의(behaviorism)  (0) 2009.10.04
인지주의 학습이론  (0) 2009.10.04
구성주의(Constructivism)  (0) 2009.10.04
Gagne & Briggs 교수 설계.  (0) 2009.05.23